Computer2011. 12. 22. 12:57
[soriel01@localhost] sudo su -   (관리자모드로 변환)
password :                               (root 권한 password 입력)
[root@localhost] apt-get update  (새로운 업데이트 확인)
[root@localhost] apt-get dist-upgrade     (업데이트)
[root@localhost] apt-get install xorg gdm (Graphic Mode 설치)
[root@localhost] apt-get install gnome-session gnome-menus gnome-panel metacity nautilus
                        (Gnome 설치)
[root@localhost] apt-get install [다음 Package 설치]
            gnome-applets 
            gnome-control-center 
            gnome-volume-manager 
            libsmbclient
            gnome-screensaver 
            menu 
            network-manager-gnome 
            gnome-utils 
            gnome-system-tools
            gnome-netstatus-applet 
            gnome-nettool 
            libgnomevfs2-extra
-------<다음은 유용한 Package>
            gnome-terminal 
            gedit 
            firefox
-------<다음은 데스크탑 테마 Package>
            ubuntu-artwork 
            ubuntu-sounds 
            human-theme 
            usplash-theme-ubuntu

[root@localhost] apt-get install gnome-app-install update-manager restricted-manager
                       (패키지 관리자 설치)

[root@localhost] /etc/init.d/gdm start   (그래픽 모드 시작)

----------------------------------------------------
이보다 더 간단한 팁~!

 
[root@localhost]apt-get install ubuntu-desktop
Posted by beingmania
Computer2011. 12. 5. 14:09
원본 출처: http://windlov2.tistory.com/1136


윈도우 7 - 사용자 계정 컨트롤(UAC) 설정 변경 하는 방법


윈도우 7을 설치하고 여러 가지 설정을 바꾸려고 할 때마다 화면이 약간 흐리게 변하면서 귀찮은 경고 창이 실행되곤 한다. 이것은 UAC(즉 사용자 계정 컨트롤)라고 부르는 것으로 이용자의 동의 없이 윈도우 7 시스템 설정이 바뀌는 것을 막기 위한 윈도우 7 기본 보안 기능이다. 이 기능은 윈도우 비스타에서 처음 적용되었으며, 윈도우 7에서도 그대로 제공되고 있는 보안 기능이다.

따라서, 여러 가지 설정을 바꾸는 작업을 많이 한다면 윈도우를 설치하자마자 UAC(사용자 계정 컨트롤)의 보안 옵션을 끄는 것이 좋다. 물론 보안 기능이 필요할 때는 다시금 원래대로 켜주면 되므로 걱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특히나 우리나라의 경우 인터넷을 사용하다보면 ActiveX로 인해 설치 혹은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이 대부분 보안 관련된 프로그램들이라 윈도우 7 시스템의 설정을 바꾸게 된다.
따라서, 은행 등의 인터넷뱅킹을 이용해야 하는경우, 각종 쇼핑몰 사이트, 정부 기관 홈페이지 등을 이용할 때 UAC(사용자 계정 컨트롤) 설정 옵션이 기본값으로 되어 있는 경우 늘 경고창이 실행된다.

만약 이와 같은 윈도우 7 사용자 계정 컨트롤(UAC) 보안 기능으로 인한 경고창 실행이 귀찮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정을 변경하거나 끌 수 있다.

1) 시작 -> 제어판을 클릭하여 제어판을 실행한다.

 

 

2) 제어판에서 우상단에 있는 [보기 기준] [범주] 값을 "작은 아이콘"으로 변경한다.

 

 

3) 작은 아이콘으로 변경된 제어판 화면에서 "사용자 계정" 항목을 클릭한다.

 

 

4) [사용자 계정 컨트롤 설정 변경]을 클릭한다.

 

 

5) [사용자 계정 컨트롤 설정] 화면에서 사용자 계정 컨트롤(UAC) 설정을 끄고 싶다면 가장 하단의 [알리지 않음]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른다.

 

위와 같이 윈도우 7 사용자 계정 컨트롤(UAC) 설정을 변경하거나 끌 수 있다.

만약 다시 변경하고자 한다면 앞서 설명한 순서대로 하되 마지막 단계에서 원하는 사용자 계정 컨트롤 옵션으로 변경하면 된다.


윈도우 7 사용자 계정 컨트롤(UAC)는 기본 값이 항상 알림으로 되어있지만 나머지 설정 값에 따라 윈도우 7이 반응하는 것이 다르다. 보안과 편의성 중에서 적당한 것을 고를 수 있다는 의미로서, 각 사용자 계정 컨트롤(UAC) 설정 값에 따라 윈도우 7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정리해 본다.

1) 항상 알림
프로그램에서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설정이나 변경 작업 전에 알림이 항상 표시된다. 바탕 화면이 흐릿하게 표시되고 확인 창에서 승인이나 거부를 하기 전까지 다른 작업도 멈춘다.

2) 프로그램에서 컴퓨터를 변경하려는 경우에만 알림

응용 프로그램이 윈도우 7 설정을 변경할 때만 표시된다.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설정 변경 작업은 표시되지 않는다. 바탕화면이 흐리게 표시된다.

3) 프로그램에서 컴퓨터를 변경하려는 경우에만 알림(바탕 화면을 흐리게 하지 않음)

이전 보안 수준과 같지만 바탕 화면을 흐리게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작업을 완료하기 전에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다.

4) 알리지 않음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모든 작업을 그대로 진행할 수 있고, 로그인한 이용자는 관리자 권한을 항상 가진다. 따라서 이용자가 악성 프로그램을 실행핟라도 막을 수 없다.

Posted by beingmania
Portable2011. 10. 31. 16:01
Team Viewer 3.5 무설치..

자료 보관용.. 기업사용 불가

개인/비상업용 사용 가능.. 


'Portab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eeSizeFree 2.51  (0) 2012.12.24
Thunderbird 12.0 Portable kr  (0) 2012.05.02
NateOn4.0.14.3.1605 Portable  (0) 2011.06.21
- MozBackup - Mozilla, FireFox, Thunderbird Backup Utillity  (0) 2010.12.03
DVD Identifier Ver. 5.2.0  (0) 2010.11.14
Posted by beingmania
Computer2011. 10. 12. 16:28
Hiberfil.sys 파일은 하이버네이션(최대절전모드)파일입니다. 최대 절전모드에서 사용되는 임시 메모리 저장공간을 하이버네이션이라 하는데 Windows 에서 최대 절전모드를 필요로 하지않는 사용자라면 하이버네이션을 사용 안하면 2~4GB의 HDD공간을 확보 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cmd를 실행시킵니다.
powercfg.exe -h off 를 입력하신 후 엔터를 치시면 됩니다.


다시 하이버네이션을 키려면 아래처럼
powercfg.exe -h on 을 입력하시고 엔터를 치시면 됩니다.


http://blogto.tistory.com/323 
Posted by beingmania
Computer2011. 10. 12. 15:46

================================================

신규 보안 공지

================================================

  •  MS11-075 (중요) Microsoft Active Accessibility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623699) - Windows XP, Windows Server 2003, Windows Vista, Windows Server 2008, Windows 7, Windows Server 2008 R2

  •  MS11-076 (중요) Windows Media Center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604926) - Windows Vista, Windows 7, Windows Vista 용 Windows Media Center TV Pack

  •  MS11-077 (중요) Windows 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567053) - Windows XP, Windows Server 2003, Windows Vista, Windows Server 2008, Windows 7, Windows Server 2008 R2

  •  MS11-078 (긴급) .NET Framework 및 Microsoft Silverlight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604930) - .NET Framework(Microsoft Silverlight 4)

  •  MS11-079 (중요) Microsoft Forefront Unified Access Gateway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544641) - Forefront Unified Access Gateway 2010

  •  MS11-080 (중요) Ancillary Function Driver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2592799) - Windows XP, Windows Server 2003

  •  MS11-081 (긴급)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2586448) - Internet Explorer 

  •  MS11-082 (중요) Host Integration Server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점(2607670) - Host Integration Server 2004, Host Integration Server 2006, Host Integration Server 2009, Host Integration Server 2010

위에 나열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목록은 간단히 요약한 것입니다영향을 받는 구성 요소 전체 목록을 보려면 각 보안 공지를 열고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부분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Posted by beingmania
Computer2011. 9. 7. 14:46

 

자료 없음....

K.J_110608

 1. 고급 모드 -> 윈도우즈 OEM 인증 -> 윈도우즈 OEM 자동 인증 -> 작업 끝나면 재부팅

 2. 다시 인증툴 실행 -> 최적화 -> 토큰 최적화 -> 윈도우즈 토큰 최적화

 -> 토큰 [자동] 최적화 -> 작업 끝나면 재부팅

 3. 다시 인증툴 실행 -> 고급 모드 -> 윈도우즈 OEM 인증 -> OEM 라이센스 설치

 -> 05 입력후 엔터 -> 작업 끝나면 재부팅

 4. 윈도우가 정상적으로 인증 되었는지 확인

Posted by beingmania
Computer2011. 8. 24. 13:30
Computer2011. 8. 18. 13:48

기사 원문 링크 주소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27249#



백업 시스템의 문제 발생은 무관심과 관리 소홀이 가장 큰 원인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대다수 기업들은 백업 시스템을 관리하는 직원이 겨우 한 명에 불과하고, 그것도 다른 업무까지 겸임하고 있어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제대로 대응할 능력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IT관리 인력이 많지만, 각자 전담하는 시스템이 다르고 백업 시스템에 대해서는 관심 밖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특히 백업 시스템 관리는 한직으로 인식하고 있어 신입사원이나 업무 능력이 떨어지는 직원, 또는 외부 인력을 이용하는 게 현실이다. 

백업은 자동적으로 시스템을 처리하고, 복구는 구축 업체에서 처리해 주기 때문에 관리에 특별할 것이 없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백업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매일 매일 정확한 일 처리를 하더라도 실적이 강조되지 않는 업무이기 때문에 중요한 업무로 대우받지 못하고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업무 실적에 따라 인사이동에 차이가 생기는 조직의 생태적인 환경 때문이기도 하다.

더욱 큰 문제점은 이런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백업 시스템은 정상 작동을 당연시 여긴다는 것이다.
관리의 어려운 현실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매일 시스템을 점검하고, 데이터의 정합성을 체크해줘야 하는 어려운 현실을 인정받지 못한다는 것은 그만큼 담당 직원의 의욕을 상실시킬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한 관계자는 “백업시스템은 유지·관리에 지속적으로 돈이 들어가지만 그에 대한 효과가 바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예산 확보도 명확하기 않다고 한다.

백업 시스템을 돈을 잡아먹기만 하는 별로 중요하지 않는 시스템으로 인식하는 경영진들도 있다”며 “백업 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바꾸지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컨설팅 업체의 한 관계자는 또 "국내 굴지의 은행이나 기관들은 비상 시나 문제 발생 시 즉각 대처할 수 있는 재해복구 시스템을 갖춘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러나 재해복구 시스템이 제대로 운영되거나 관리되는 곳은 몇 군데 밖에 안 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올초 발생한 농협 사태 건도 사실상 재해복구시스템만 재대로 갖췄다면 일시에 서버가 다운되는 일은 없었을 것"라고 지적했다.

우리나라는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 즉 발등에 불이 떨어져야만 그 때서야 호들갑을 떨며 우왕좌왕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에 앞서 백업시스템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식해야만 할 때이다

'Comp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7 인증 관련  (0) 2011.09.07
VMware Player 3.1.4-Build 385536  (0) 2011.08.24
NQVM Server & Viewer 2.0.8  (0) 2011.07.12
TightVNC 2.0.3  (0) 2011.07.12
컴퓨터 이름 바꾸기  (0) 2011.07.11
Posted by beingmania
Computer2011. 7. 12. 18:15

자료 보존용임, 개인용으로 상업용으로 이용될수 없음.

원격의 지존??

www.nqvm.com






'Comp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ware Player 3.1.4-Build 385536  (0) 2011.08.24
백업 시스템 중요성 인식 시급하다  (0) 2011.08.18
TightVNC 2.0.3  (0) 2011.07.12
컴퓨터 이름 바꾸기  (0) 2011.07.11
.eml 파일을 Outlook 2007에서 open하는 방법  (0) 2011.06.02
Posted by beingmania
Computer2011. 7. 12. 14:12
개인적으로 UltraVNC 보다 반응 속도가 빠른것 같음..

 기업에서도 무료이나 확장기능을 요구 할때는 별도의 라이센스 비용을 지불해야 함.

자료 보존용..



Posted by beingmania